본문 바로가기

lovely cinema

Munich - 폭력의 역사...? 영화 내용이 언급됩니다. aka 뮌헨 이 영화의 기초가 된 실제 사건의 개요를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1972년 뮌헨 올림픽 당시 팔레스타인 테러단체 "검은 9월단"이 이스라엘 선수단을 인질로 잡았다가 11명을 사살했고 테러단원들도 모두 죽었는데. 그 이후 이스라엘의 모사드에서 테러의 배후인물들을 찾아내 역테러를 시도했다. 작전명은 '신의 분노'. 내가 읽은 영화평들은 대체로 '스필버그가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며 어설픈 결론을 내려고 하지 않는 현명함을 보였다'고 했다. 그러나, 영화를 보는 동안 불편했다. 크게 이야기하면 2가지이다. 첫째, 실제 사건을 중립적으로 다룬다는 건 뭘까? 둘째, 과연 스필버그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양쪽을 중립적인 시각에서 다루었는가? 실제 사건과 회고록, 그리고 영화 우선 영.. 더보기
신이 버린 도시, 아이들의 갱 히스토리, 시티 오브 갓 aka Cidade De Deus, City Of God 영화는 소비된다. 예전엔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영화는 소비되어야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고, 진실이든 거짓이든 사람들과 이야기를 할 수가 있다. 심지어 비난받기 위해서도 영화는 일단 소비되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이 영화는 잘 만들어진 영화이다. 영화잡지에 실린 평들이 그리 좋지만은 않은 걸 보고 의아했다. 그 영화평들은 대체로 이런 식이었다. "이 영화는 '시네마 노보'의 정신을 제대로 계승하지 않고 있다", "실화의 탈을 쓴 거짓일 뿐이다", "폭력을 성찰한다는 구실 아래의 폭력 묘사도 폭력을 소비하는 역설일 뿐이다". 그러나, 내가 느끼기에는 그 평을 쓴 이들이 이 영화에 들이대는 잣대가 다른 영화들과는 조금 다른 것 같다. 모든 실화.. 더보기
트레일러: A Scanner Darkly 내가 좋아하는 감독 리처드 링클레이터 (Richard Linklater) 감독의 영화 가 촬영과 후반작업을 모두 끝내고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2006년 7월 7일 개봉 예정. 예고편 속 문구 "지금으로부터 7년 후, 당신이 하는 모든 것은 기록된다. (Seven years from now, everything you do will be recorded.)"가 인상적이다. 하지만, 원작은 필립 K. 딕의 소설. 가까운 미래, 미국은 약물 (마약)과의 전쟁에서 졌다. Fred는 정부의 위장 수사관 (undercover cops)이고, 약물 공급자를 추적하기 위해 'Substance D' 라는 약물을 정기적으로 복용하고 있다. 그는 다른 하나의 자아가 더 있는데 그의 이름은 Bob Arctor이며 그.. 더보기
Corpse Bride - 저승에서 만난, 저승으로 보낸 aka 유령 신부 여전히 팀 버튼 (Tim Burton) 감독의 세계에서는 현실은 차갑고 단조로우며, 비현실은 따뜻하고 화려하다. 예전 팀 버튼의 애니메이션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은 비주얼이었지만, 뭐랄까 예전보다는 조금 더 둥글둥글해진 느낌이다.*1 대니 엘프먼 (Danny Elfman)의 음악은 점점 더 세련되어가는 느낌이지만, 그게 마냥 좋지만은 않다. 점점 둥글둥글해지는 팀 버튼처럼 그의 음악도 개성 가득한 사운드에서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사운드로 변화해가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예전의 느낌이 더 좋다. 아쉽기는 했지만 영화는 여전히 '팀 버튼'표였다. 죽은 자들과 산 자들이 만나는 장면은 따뜻했고, 죽은 자들이 신입생인 빅터를 받아들이며 노래를 부르는 장면은 유쾌했다. "sounds creep.. 더보기
오로라 공주를 보다가 영화 는 주인공 순정 (엄정화)이 살인을 하고 형사들이 출동을 하는 걸로 시작한다. 뒤이어 등장하는 장면은 출동한 형사들이 백화점 주차장 진입로에서 차량 안내를 하는 안내원에게 '싸이렌을 꺼달라'는 요구를 받아 어이없어 하고 이들에게 기계적으로 주차증을 발부하는 안내원을 보며 어이없어 하는 장면이다. 형사 중 한명 (문성근)은 그냥 이해하세요- 라는 멘트만 날리고. 적당히 재밌는 영화적인 클리셰지만 보면서 현실적으로는 별로 공감가지 않는 느낌이 들어서 피식했다. 한마디로 재미없는 풍자였다. 그 이유는? 얼마전에 경찰이 불신검문하면 무조건 신분증을 보여주는 게 관례이며 세상 편하게 사는 방법이어서 그걸 가지고 뭐라고 하면, 신문기사가 되고, 댓글로 많은 사람들이 "너 땜에 다른 흉악한 범죄자 놓치면 어떻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