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a & world

샘플링의 시대? 같은 코드, 다른 음악 언젠가부터 많은 가요들이 대중들에게 공개하자 마자 표절이니 아니니를 따지는 게 일종의 놀이 문화가 된 듯 합니다. 반대로 뮤지션들은 곡을 내고는 변명을 하기 바빠졌고요. 개인적으로는 서태지와 아이들을 통해 본격 댄스 음악이 히트를 하기 시작한 이후인 것 같아요. (지금도 여전히 댄스, 힙합 장르에서 논란이 많죠) 서태지와 아이들 스스로 그들의 데뷔곡 '난 알아요' 가 표절 시비에 휘말렸는데, 현재까지도 논란이 끊이지 않는 샘플링이라는 작법이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기 때문일 겁니다. 샘플링 씨디를 구입하거나 악기의 음원을 라이센싱 받아서 만든 음악이 아니라면 리메이크든 샘플리이든 원작자 표기가 제대로 되어있어야 하지만, 이게 지금까지도 잘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죠. 'Cat Scrat.. 더보기
다음 뮤직 - 적절한 이벤트 타이밍 & 이상한 가격 정책 # 적절한 이벤트 타이밍 - 그리고 자동 유료전환 NO! 공정위는 27일 로엔엔터테인먼트(멜론), KT뮤직(도시락), LG텔레콤(뮤직온), Mnet(엠넷), 소리바다, 네오위즈벅스(벅스) 등 6개 온라인음원제공사업자의 서비스이용약관 중 '무료체험이벤트 참가시 유료서비스 가입을 강제하는 조항' 및 '유료서비스 중도해지 제한조항'을 수정 또는 삭제하도록 시정권고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고객이 무료체험 이벤트에 참가만 하면 참여고객의 별도 동의절차 없이 이벤트 종료시에 자동결제 월정액 유료서비스로 전환했다. 물론 약관에 '무료체험 기간 종료 후 자동으로 유료전환돼 매월 0000원이 결제됩니다'고 명시했지만 무료체험 이벤트의 성격상 소비자가 예상하기 어려운 조항으로 불공정성이 인정된다는 것이다. 출처 : 아.. 더보기
[유머] 명품과 로고 개수의 상관 관계 팬택의 핸드폰 브랜드 SKY를 타고 나온 '명품 휴대폰(!)' IM-U510LE (일명 듀퐁폰)의 보도자료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 그건 바로 핸드폰에 찍힌 로고의 개수! 명품 폰 1개에 앞뒤로 무려 6개의 로고가! 마치 제품에 박힌 로고가 많아야 명품이라고 소리치는 것과 같은 포스가 느껴졌다고나 할까요; 곰곰히 생각해 본 결과 '야, 너 어디서 듀퐁 라이터 짝퉁 같은 핸드폰을 들고 다니냐?' 라는 질문을 받아 고객이 난처하게 될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흥! 나 듀퐁 시그니처 모델이거든? 그리고, SKT거든? 게다가 SKY 모델군이거든?' 이라는 말을 온몸으로 해주기 위해 박아 넣은 제조사와 이통사의 세심한 배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럴 바에야 이통사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제.. 더보기
(오랜만에) 어쿠스틱 뉴스 #110 일도 안되고 해서;;; 법원, "NHN 시장지배적 사업자 해당안돼" NHN은 "공정위의 시정명령에 대한 취소 판결은 법원에서 NHN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라며 "이번 판결에 따라 NHN은 포털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사업자에 해당되지 않으며, 콘텐츠 제공자에게도 부당한 대우를 한 사실이 없음이 명확해졌다"고 주장했다. 작년 (2008년) 8월 공정위가 'NHN은 포털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지위에 있고, 이를 남용해 동영상 업체의 영상 상영 전 광고 삽입 등을 제한했다'고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을 물렸었는데, 법원이 이걸 뒤집은 것이죠. NHN이 포털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아니라는 건 도대체 어떤 의미인 걸까요? 시장점유율이 90% 정도는 되어야 시장을 지배한다는 뜻일까요, 아니면 포털 시장 전체 매출.. 더보기
체크아웃 서비스 로고 (구글과 네이버) 신기하게도(?!) 네이버도 앞쪽으로 전진하는 느낌의 카트를 선택했네요. 그리고, 체크아웃이라서 체크 표시를 추가로 넣어준건가요? (^^) 색이야 네이버의 대표색인 녹색으로 바꾼 게 당연하고. 네이버 체크아웃의 실제 서비스는 구글 체크아웃과 크게 다르지 않을 듯. * * * 평범하고 단순하게 네이버 장바구니로 하고, 서비스 로고도 좀 다른 형태로 만들었다면 조금은 토종 서비스 느낌이 나려나요? 아무래도 고품격 서비스의 느낌은 덜 나겠지. 영어를 쓰면 왠지 있어보이니까... 혹시 다음(DAUM)이 비슷한 서비스를 기획 중이라면 다음(DAUM) 장바구니로 하면 차별화도 되고 괜찮을 듯도 싶어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