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유리씨와 함께 MCA에 갔을 때 윌리엄 켄트리지 (William Kentridge)의 작품들이 전시 중이었다.
사실 누군지 전혀 몰랐다. 무식이 죄일 뿐. 무턱대고 전시되어 있는 것들을 봤다 - 드로잉, 조각 그리고 애니메이션.
전체적으로 흑백인 그림에 포인트를 주는 주홍색, 그리고 파스텔톤 파랑색이 들어있는 드로잉 작품들. 입체적, 공간적인 요소가 가미된 조각들. 흑과 백 (그리고 그림자), 시간의 역행과 흐름에 대한 애니메이션들.
한쪽 공간에서는 그가 만든 짧은 (무성) 애니메이션들을 반복해서 틀어주었다. 모든 작품이 실사를 찍어서 그것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 픽셀레이션 (pixelation) 기법으로 만든 것들이었는데, 7개 중 6개의 작품은 형식적으로 '시간의 역행'을 취했다. (하나는 세포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간단한 움직일 뿐이어서 무엇을 표현하는지조차 모를 정도-_-)
그리고, 다시 3개의 공간에서는 (한 곳이 더 있긴 했지만 거기서는 같은 걸 틀어주고 있었다.)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이 있는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고 있었다.
하나하나 작품명들을 보면서 감상을 했던 게 아니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 그것들은 Drawing for Projection 시리즈의 일부였다. 인상적이었던 건 최근작 'Tide Table' (2003년작). 이 작품을 포함하여 다른 작품들도 목탄 (charcoal)으로 그리고 지우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나가는 것들 - 거칠면서도 애니메이션이라는 걸 새삼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작품이 있다면 'Sleeping on Glass' (2000년작). 뒷쪽에서 프로젝션을 쏴서 보여주는 방식.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지 않는 작품을 보면서 슬프거나 기쁘거나 하는 감정이 든다는 건 어떤 뜻일까.
사전 지식없이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물론 정치적인 예술을 한다는 건 알았지만) 그의 작품들에서는 문명(?)에 의한 파괴와 (차별에 의해) 소외된 가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 다음은 다른 사이트에서 찾은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한 설명들.
> 그 외 참고 사이트.
William Kentridge's Shadow Procession by Telstra Sponsorship
98년 2월의 인터뷰 by OnePeople.com
William Kentridge : Drawings for Projection by PixelPress.org
William Kentridge by goodman-gallery.com
William Kentridge by Barbara Krakow Gallery
사실 누군지 전혀 몰랐다. 무식이 죄일 뿐. 무턱대고 전시되어 있는 것들을 봤다 - 드로잉, 조각 그리고 애니메이션.
전체적으로 흑백인 그림에 포인트를 주는 주홍색, 그리고 파스텔톤 파랑색이 들어있는 드로잉 작품들. 입체적, 공간적인 요소가 가미된 조각들. 흑과 백 (그리고 그림자), 시간의 역행과 흐름에 대한 애니메이션들.
한쪽 공간에서는 그가 만든 짧은 (무성) 애니메이션들을 반복해서 틀어주었다. 모든 작품이 실사를 찍어서 그것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 픽셀레이션 (pixelation) 기법으로 만든 것들이었는데, 7개 중 6개의 작품은 형식적으로 '시간의 역행'을 취했다. (하나는 세포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간단한 움직일 뿐이어서 무엇을 표현하는지조차 모를 정도-_-)
그리고, 다시 3개의 공간에서는 (한 곳이 더 있긴 했지만 거기서는 같은 걸 틀어주고 있었다.)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이 있는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고 있었다.
하나하나 작품명들을 보면서 감상을 했던 게 아니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 그것들은 Drawing for Projection 시리즈의 일부였다. 인상적이었던 건 최근작 'Tide Table' (2003년작). 이 작품을 포함하여 다른 작품들도 목탄 (charcoal)으로 그리고 지우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나가는 것들 - 거칠면서도 애니메이션이라는 걸 새삼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작품이 있다면 'Sleeping on Glass' (2000년작). 뒷쪽에서 프로젝션을 쏴서 보여주는 방식.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지 않는 작품을 보면서 슬프거나 기쁘거나 하는 감정이 든다는 건 어떤 뜻일까.
'I am interested in a political art, that is to say an art of ambiguity, contradiction, uncompleted gesture and uncertain endings.'
William Kentridge
William Kentridge
사전 지식없이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물론 정치적인 예술을 한다는 건 알았지만) 그의 작품들에서는 문명(?)에 의한 파괴와 (차별에 의해) 소외된 가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William Kentride에 대해 소개를 하자면,
1955년 남아공 (South Africa)의 요하네스버그 (Johannesburg) 출생.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과 인간의 감정과 기억에 대한 작품 활동.
'Drawing for Projection' 시리즈가 유명.
1955년 남아공 (South Africa)의 요하네스버그 (Johannesburg) 출생.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과 인간의 감정과 기억에 대한 작품 활동.
'Drawing for Projection' 시리즈가 유명.
> 다음은 다른 사이트에서 찾은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한 설명들.
> 그 외 참고 사이트.
William Kentridge's Shadow Procession by Telstra Sponsorship
98년 2월의 인터뷰 by OnePeople.com
William Kentridge : Drawings for Projection by PixelPress.org
William Kentridge by goodman-gallery.com
William Kentridge by Barbara Krakow Gallery
'my view & mi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기는 짜장들 - 스팸 메일과 사이트 관리 (2) | 2005.01.15 |
---|---|
불여우와 그들은 친하지 않아요. (3) | 2004.11.30 |
차이. (0) | 2004.08.01 |
지나고 나니. (0) | 2004.07.21 |
fantasy (1) | 200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