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걸스가 정말 이슈이긴 이슈인가 봅니다. 전 그냥 우연히 들어보고 박진영 분위기 참 많이 난다 싶으면서도 많이 들어본 곡인 것 같아 찾아봤었거든요. 그런데, 한번 찾아보니 열풍이 불고 있더군요. ^^
처음 들을 때 '아- 스테이시 큐의 곡을 샘플링 했구나.' 라고 생각하다가 '응? 이 정도면 리메이크라고 해도 되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물론 제가 같은 멜로디, 같은 구조, 같은 장르라고 했을 때, 같은 멜로디가 정말 '똑같은' 멜로디라는 뜻은 아니었어요. 딱 들어도 비슷하다 그런 뜻이었지요.
이게 박진영의 실력 혹은 요즘 우리나라 작곡가들의 실력이라면 실력인데, 하나의 곡을 뜯어서 이리 붙이고 저리 붙이는 능력들이 대단합니다.
예전 같으면 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사용한 다음에 음만 몇 개 고치고, 가사를 한국어로 바꿔서 불렀을 거예요. 중간에 영어도 섞고 말이죠.
이렇게요.

세또래 1집 (1988년)
세또래 - 행복해 (1988년)
그동안 많이 발전(^^)한 거죠. 게다가 예전엔 스리슬쩍 몰래 가져다 쓰고 그냥 나몰라라 했지만, 요즘엔 하도 표절에 대해 민감하니 대부분 저작권을 정식으로 구입해서 사용하잖아요. (대부분 맞죠? ^^) 하긴, 몰래 스리슬쩍 쓰다보니 들키지 않으면서 원곡의 분위기를 최대한 살리려다 보니 실력이 는 걸까요? -_-a
아래 댓글들에도 적었지만 샘플링이면 어떻고, 리메이크면 어때요. 샘플링이 더 창의적이고, 리메이크는 좀 날로 먹고… 뭐 이런 것도 아니고 말이죠.
제가 글을 적었던 건 '그냥 이 정도면 리메이크라고 해도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였어요. 어느 선이면 리메이크, 어느 선이면 샘플링… 이런 기준이 명시화되지 않는 한 홍보팀 혹은 작곡자가 말하기 나름이겠죠. (갑자기 전혀 엉뚱한 '오마주'와 '패러디'의 관계도 생각나네요. ^^)
어쨌든 원더걸스의 팬으로 보이는 분들이 리메이크 혹은 번안곡 수준이라는 표현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듯 하여 한번 나란히 붙여서 들어봤습니다. 텔미가 Two of Hearts 보다 반음 정도 올라있고, 템포는 조금 더 느리더군요. 그래서, 대충 비슷하게 맞췄습니다.
원더걸스 - 텔미 & Stacey Q - Two of Hearts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게 다를 거라 생각하거든요. 참고로 제가 비교를 올려놓은 건 그러니까 이게 리메이크다 아니다 그런 의미는 아니예요. 참 센스있게 수정했구나 하는 의미입니다. ^^
그냥 추측컨데, 원더걸스의 안티라면 이렇게 말할 것 같아요.
이거 돈 있으면 다야? 돈 주고 사온 곡 여기저기 짜깁기 해서 만들었잖아!
오리지날리티라는 게 있는 거야?
역시 원곡의 포스는 따라갈 수 없어.
요즘 애들이 뭘 몰라. 옛날 곡이 더 섹시하고 더 좋네 뭐.
원더걸스의 팬이라면 (혹은 이 곡이 더 좋은 분들)이라면 이러겠죠?
남의 곡을 사용해도 이렇게 다른 느낌으로 만들어 내다니 대단해!
이건 정말 샘플링이 아니라 창조야, 창조.
음악도 흥겨운데 음악에 딱 맞는 춤까지 추는 완소 원더걸스;
비슷한 부분도 있는데 그건 샘플링일 뿐이고 곡이 참 세련되졌네.
그런데, 저는 원더걸스라는 그룹을 아예 몰랐고, 이 곡도 크게 나쁘거나 좋거나 하지 않아서였는지 이것저것 찾아보고 난 후에 이랬죠. ^^
이 정도면 리메이크라 해도 될 것 같은데?
그래도 타이틀 곡인데 기왕이면 오리지널 곡으로 나오는 게 좋지 않았을까?
박진영의 뽕끼는 여전하구나.
그나저나 대략 웹서핑을 해본 결과 제가 분석한 판세를 말하자면, 초반에는 원더걸스와 소녀시대가 박빙이더니, (소녀시대 팬들이 들으면 서운하겠지만) 원더걸스 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적어도 지금 인터넷의 대세는 원더걸스인 듯 합니다.

처음 들을 때 '아- 스테이시 큐의 곡을 샘플링 했구나.' 라고 생각하다가 '응? 이 정도면 리메이크라고 해도 되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물론 제가 같은 멜로디, 같은 구조, 같은 장르라고 했을 때, 같은 멜로디가 정말 '똑같은' 멜로디라는 뜻은 아니었어요. 딱 들어도 비슷하다 그런 뜻이었지요.
Stacey Q
이게 박진영의 실력 혹은 요즘 우리나라 작곡가들의 실력이라면 실력인데, 하나의 곡을 뜯어서 이리 붙이고 저리 붙이는 능력들이 대단합니다.
예전 같으면 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사용한 다음에 음만 몇 개 고치고, 가사를 한국어로 바꿔서 불렀을 거예요. 중간에 영어도 섞고 말이죠.
이렇게요.
세또래 1집 (1988년)
세또래 - 행복해 (1988년)
그동안 많이 발전(^^)한 거죠. 게다가 예전엔 스리슬쩍 몰래 가져다 쓰고 그냥 나몰라라 했지만, 요즘엔 하도 표절에 대해 민감하니 대부분 저작권을 정식으로 구입해서 사용하잖아요. (대부분 맞죠? ^^) 하긴, 몰래 스리슬쩍 쓰다보니 들키지 않으면서 원곡의 분위기를 최대한 살리려다 보니 실력이 는 걸까요? -_-a
아래 댓글들에도 적었지만 샘플링이면 어떻고, 리메이크면 어때요. 샘플링이 더 창의적이고, 리메이크는 좀 날로 먹고… 뭐 이런 것도 아니고 말이죠.
제가 글을 적었던 건 '그냥 이 정도면 리메이크라고 해도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였어요. 어느 선이면 리메이크, 어느 선이면 샘플링… 이런 기준이 명시화되지 않는 한 홍보팀 혹은 작곡자가 말하기 나름이겠죠. (갑자기 전혀 엉뚱한 '오마주'와 '패러디'의 관계도 생각나네요. ^^)
어쨌든 원더걸스의 팬으로 보이는 분들이 리메이크 혹은 번안곡 수준이라는 표현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듯 하여 한번 나란히 붙여서 들어봤습니다. 텔미가 Two of Hearts 보다 반음 정도 올라있고, 템포는 조금 더 느리더군요. 그래서, 대충 비슷하게 맞췄습니다.
원더걸스 - 텔미 & Stacey Q - Two of Hearts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게 다를 거라 생각하거든요. 참고로 제가 비교를 올려놓은 건 그러니까 이게 리메이크다 아니다 그런 의미는 아니예요. 참 센스있게 수정했구나 하는 의미입니다. ^^
그냥 추측컨데, 원더걸스의 안티라면 이렇게 말할 것 같아요.
이거 돈 있으면 다야? 돈 주고 사온 곡 여기저기 짜깁기 해서 만들었잖아!
오리지날리티라는 게 있는 거야?
역시 원곡의 포스는 따라갈 수 없어.
요즘 애들이 뭘 몰라. 옛날 곡이 더 섹시하고 더 좋네 뭐.
원더걸스의 팬이라면 (혹은 이 곡이 더 좋은 분들)이라면 이러겠죠?
남의 곡을 사용해도 이렇게 다른 느낌으로 만들어 내다니 대단해!
이건 정말 샘플링이 아니라 창조야, 창조.
음악도 흥겨운데 음악에 딱 맞는 춤까지 추는 완소 원더걸스;
비슷한 부분도 있는데 그건 샘플링일 뿐이고 곡이 참 세련되졌네.
그런데, 저는 원더걸스라는 그룹을 아예 몰랐고, 이 곡도 크게 나쁘거나 좋거나 하지 않아서였는지 이것저것 찾아보고 난 후에 이랬죠. ^^
이 정도면 리메이크라 해도 될 것 같은데?
그래도 타이틀 곡인데 기왕이면 오리지널 곡으로 나오는 게 좋지 않았을까?
박진영의 뽕끼는 여전하구나.
그나저나 대략 웹서핑을 해본 결과 제가 분석한 판세를 말하자면, 초반에는 원더걸스와 소녀시대가 박빙이더니, (소녀시대 팬들이 들으면 서운하겠지만) 원더걸스 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적어도 지금 인터넷의 대세는 원더걸스인 듯 합니다.
'recharge m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의 마지막 밤 (2) | 2007.11.01 |
---|---|
어제: 서울국제충무로영화제 개막 축하공연 - 충무로 연가 (4) | 2007.10.20 |
집 앞 편의점이 문을 닫는다. (0) | 2007.09.28 |
신기한 메일 - 이글루스 + 엠파스 + SK컴즈 (0) | 2007.09.18 |
긴장 (0) | 2007.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