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 world 썸네일형 리스트형 SKT 네이트 모아 (NATE MoA) + 해지 방법 예전에 SKT의 뮤직자유이용권에 대해 글을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그 글을 작성할 당시의 상황을 간단하게 다시 설명하자면, - 어떤 경로로 웹상의 이벤트에 참여하게 됐다. - 그 결과 뮤직자유이용권 (1주일 무료)이라는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었다. - 1주일이 되기 전에 고객센터(114)에 전화를 걸어 모든 이벤트성 서비스를 해지했다. - 그런데, 1주일이 지나니 요금 청구가 되었다. 관련글 SKT의 뮤직자유이용권 이야기 SKT의 뮤직자유이용권 이야기 그 후 SKT 뮤직자유이용권, 결국 요금 청구 저에겐 일상이 바빠지는 바람에 결국 항의를 계속하지 못하고 지나갔던 기억이죠. * * * 그런데, 오늘 아침에 일어나서 핸드폰을 켜보니 대기화면이 저도 모르는 화면으로 바뀌어 있더군요. 아니, 이건 또 어디서 듣.. 더보기 설문조사 혹은 광고? 한참 방문자수에 목숨 걸었던 시절의 저였다면 '오호라, 저런 식으로 글을 적고 다니면 방문자 수가 엄청나게 늘겠는데?' 하는 생각을 했을 듯 싶어요. 홈페이지를 처음 가졌던 시절에는 실제로 싸이 이웃방문 하듯이 각자의 홈에 들락날락거리기도 많이 했죠. ^^ (물론 태니님이 지금 그렇다는 뜻은 아닙니다.) 저에게만 적은 글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여기저기 똑같이 쓰여진 글이라고 알게 되니 재밌지만은 않네요. ^^ 그게 뭐 중요한가 싶기도 하지만, 어쨌든 댓글도 늦게 단 김에 저는 패스하겠습니다. ^^ p.s. 뭐 어떻게 보면 광고는 광고지요. 실제로 태니님 블로그에 가보면 설문조사를 통한 포스팅을 하겠다고 광고를 한 상태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광고?'라고 적은 거예요. 더보기 어쿠스틱 뉴스 (2007.10.22 ~ 2007.10.28) 2007.10.27. "Air America Radio" 파산의 교훈 가장 큰 이유는 광고주들이 이 방송의 내용을 좋아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예를 들면, 중간선거 직전이었던 2006년 10월에는 HP사가 AAR에 방송되던 광고를 모두 거두어 들였고, 마이크로소프트나 월마트 등 미국의 거대 광고주들이 줄줄이 그 뒤를 이었다. 이 회사들은 AAR의 프로그램이 정치적인 성향이 너무 강하다는 이유를 대지만, 그들이 보수 성향의 프로그램들에게는 계속 광고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면 이유가 터무니없음을 알 수가 있다. 결국 대기업들이 AAR의 반보수 성향의 프로그램들이 싫어 돈줄을 끊은 것이다. 우리나라도 얼마 전 시사저널 사태를 보면 알 수 있겠지. 물론 시사저널은 정치적인 성향이 중립에 가까웠음에도 불구하.. 더보기 정권 잡으면 너희 다 죽는다. 10년 전에는? 진씨의 폭탄 발언은 이때 나왔다. 진씨는 “변희재 씨가 포털에서 이명박 후보에 불리한 기사가 안 올라간다 했는데, 내가 밤새 전화 걸어서 막았다”며 “네이버는 평정되었는데, 다음은 폭탄이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음의 석종훈 사장과는 이야기가 잘 되는데 밑에 사람들이 안 따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중략) 변씨는 당시 간담회를 끝나고 나오면서, 진씨 에게 “(포털에) 기사 올려 달라, 내려달라, 이렇게 사정하지 말고, 너희 정권 잡으면 죽는다며, 더 세게 나가시오”라는 조언까지 했다고 밝혔다. 출처 : 고뉴스 - "정권 잡으면 너희 다 죽는다"… 이명박 ‘포털 회의’ 파문 아래 글도 10년 전 이야기였는데 이건 뭐 10년 전 시리즈도 아니고,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이 기사를 보니 10년 전의 말들도 생.. 더보기 잃어버린 10년? 10년 전 그 때! 한나라당 정책위원회(의장 이한구)는 21일 "(김대중.노무현 정권의)지난 10년간은 경제.집값.실업.교육.안보.헌법대란 등 '육란(六亂)시대'였다"고 주장했다. 당 정책위는 이날 '잃어버린 10년, 신고한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내고 '육란시대'의 근거로 ▶양극화 심화 ▶세금폭탄 ▶부동산가격 폭등 ▶공교육 붕괴 ▶언론탄압 ▶청년실업 급증 ▶대북 퍼주기를 들었다. 출처 : 중앙일보 - 지난 10년 경제·집값·실업·교육·안보·헌법 `6란 시대` 한나라당은 저런 이유로 10년을 잃어버렸다고 합니다. 문득 한나라당이 집권하던 10년 전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신문박물관에서 10년 전 (1997년) 10대 사건 중 1위부터 5위까지를 한번 살펴봤어요. 동아일보가 뽑은 1997년의 10대 사건 중 .. 더보기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