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 world 썸네일형 리스트형 짧게: 안드로이드폰들 첫인상 (시각, 촉각 등 UI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 안드로이드폰들을 꼼지락 꼼지락 만져보고 받은 느낌입니다. 대부분 거의 첫인상을 중심으로 적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어플을 구동하고 메뉴를 탐색해가며 받은 시각 & 촉각적인 느낌입니다. htc 히어로 만져본 지 조금 오래되었기 때문에 요즘 폰들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움 만져보고 안드로이드가 UI (를 포함한 UX) 면에서는 아직 좀 멀었구나라는 느낌을 준 바로 그 폰! 그립감이 약간 장난감을 잡은 것 같은 느낌이어서 의외로 놀람. (확실히 가벼운 느낌) 삼성 갤럭시A 예전 삼성 터치폰 (햅틱)을 생각하며 기대도 안했는데 의외로 괜찮다는 느낌, 즉 '많이 노력했구나...' 하는 느낌을 받음. UI 상의 각종 애니메이션의 어색함은 제조사의 문제가 아니라 OS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느낌을 직관적으로 받음.. 더보기 만화 시사SF 균형 1,2,3 & 단편 애니메이션 Balance 시사SF (조남준 화백, 한겨레21에서 1997-2004 동안 8년간 연재했었음) 그 중 균형 연작 3편 보러가기 클릭 (참고로 조남준 화백의 블로그입니다. 트위터는 @cnjoon) 연재물 중 114편을 추린 시사SF의 단행본도 나와있습니다. 예스24는 여기로, 알라딘은 여기로. 한겨레21 홈페이지에서는 현재 아쉽게도 200년 7월 27일 이전의 연재물은 확인할 수 없군요. * * * 그리고, 1989년작 애니메이션 Balance. (감독 : 크리스토프 & 볼프강 라우엔슈타인) Balance (1989) 쌍둥이 형제가 작업한 이 애니메이션은 1989년 아카데미 단편영화상을 수상했습니다. 참고로 에서도 이 애니메이션의 아이디어를 차용했다고 하죠. 더보기 LG U+ 런칭 광고 (펭귄)는 왜 대놓고 베낀 걸까? 2010년 LG U+ 런칭 광고 2008년 BBC Penguins (BBC 다큐 만우절 광고) 펭귄이 날아오르고 그걸 다른 펭귄들이 멀찌감치 쳐다보는 장면이 똑같은 걸로 보아 모르고 우연히 비슷하게 나온 건 아닌 것 같고... 라이센스를 받아서 만들었다고 생각하기엔 만우절 광고를 받아다 중요한 런칭 광고를 만들었을리는 만무하고... (LG U플러스 런칭은 뻥이야- 이런 건 아닐테니 말이죠...) 광고 제작사에 BBC를 너무 좋아하거나 테리 존스를 흠모하는 사람이 있어서...도 아닐테고; 혹시 이유를 아시는 분...? 추가 http://twitter.com/montague99/status/16267341411 pureRED님 댓글을 보고 찾아보니 일단 이런 트윗이 있네요; 보도자료 같은 공식 정보나 제작하.. 더보기 3천8백만명이 행사하는 1억개의 표 찾아보진 않았습니다만 이제까지 이렇게 많은 표를 행사해야 하는 선거가 있었던가요? 다음(daum)에 소개된 그림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선거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저렇게 그림으로 요약하니 좀 낫군요. 어쨌거나 한 사람당 총 8개의 표를 행사해야 합니다. 교육감부터 도지사, 시장, 시의원까지... 문제는 제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들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겁니다. 정치란 더럽고 무서운 것이어서, 잘못하면 코렁탕을 먹는다든지, 매우 귀찮은 일이 생긴다는 인식이 강하죠. 말하지 않아도 그 절정은 바로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이겠죠. 전직 대통령까지 죽게 만드는 (반면 어느 군바리 출신 전직 대통령은 29만원 남았다는 핑계를 계속 유지시켜 주는) 그런 상상초월의 현장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정치.. 더보기 olpost.com - 영리한 (or 현명한?) 레이아웃은 어디서 시작된 걸까 올포스트 (olpost.com)은 믹시 (mixsh)로 잘 알려진 Endless9님이 PM으로 진행하는 서비스입니다. 다양한 분야별 전문 블로거가 모여 한곳에 자신들의 글 전문을 송고하는거야. 함께 블로그 기반 종합 미디어를 만들어 가는거지. 세상에서 가장 큰 팀블로그랄까? 블로거는 자신의 블로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컨텐츠를 Multiuse 하는거니 전문 송고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는 않을 것 같아. 물론 합리적인 보상이 전제 된다면. 생각대로 다양한 블로거들이 한곳에 모여 더 큰 미디어 파워를 가지게 되면 개인별로 블로그에 광고를 유치하거나 Adsense를 다는 것보다 훨씬 좋은 조건에 광고영업이 가능할꺼야. 이렇게 수익을 창출하고 그 중 70%를 블로거들에게 돌려주자. 수익 배분 기준은 우선은 조회수로..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