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view & mind

모바일 경계 위에 있는 신제품들의 득과 실 (트위터와 모바일 디바이스편)

여러 가지 개념들이 섞여있지만, 예전부터 간단하게 나마 적어두고 싶었던 이야기들의 일부입니다.

새로 등장하는 혁신적인 제품들을 사용하거나 관찰하면서 그 신제품들이 오히려 과거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지키고 유지시키기도 하고, 의도치 않은 부작용들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중에서 트위터와 모바일 디바이스편입니다.

트위터



GOOD : 트위터는 링크를 살려냈습니다.

웹2.0 이라는 용어/기술/광고가 시작된 이래 웹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 웹을 뜯고 분해해서 사용자가 보기 편하게 만드는 각종 서비스와 툴들이 나왔습니다. 텀블러, 구글 노트, 인스타페이지, 앰플리파이 등이 그 범주에 해당되죠. 이것들의 기본 베이스는 바로 편집, 저장, 복제입니다.

하지만 - (블로그나 카페를 포함해) 이렇게 저장된 자료들 (언젠가 먼 훗날의 미래를 위해 보지도 않을 펌과 스크랩으로 이루어진)은 출처가 생략되기 일쑤입니다. 나중에 공개하거나 공유하기도 껄끄러운 그런 데이터들이 되기 쉽다는 뜻이죠.

반면 트위터는 사용자가 운신할 수 있는 폭을 굉장히 좁게 만들어 버려서 고작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일들은 잘 만들어진 컨텐츠가 들어있는 웹페이지로 링크를 거는 일 정도입니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스스로 만들어서 그걸 다른 서비스에 올리고, 링크를 걸 수도 있죠.

한국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들이 가장 자발적으로 링크를 많이 만들어 거는 서비스는 바로 트위터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BAD : 하지만 웹의 연결고리를 매우 취약하게 만들었습니다.

트위터는 치명적인 단점도 함께 불러들였습니다. 트위터에서 거는 링크들은 단축주소 (shorten url)가 대부분입니다. 사람들은 글자제한 때문에 각종 단축주소를 지원하는 서비스 - tinyurl.com, bit.ly, j.mp, 3.ly, 2.ly 등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데이터를 흘려보내고 새로운 글들에 집중하는 트위터 같은 서비스에서만 이 단축 주소가 사용되면 문제가 덜 할 수 있지만,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비롯해 여러 웹사이트에서도 이제 단축된 주소들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단축 주소들은 매우 위험하죠.

만약 단축주소들이 해킹 당하거나 (그래서, 한 단축주소 서비스의 모든 링크들이 포르노 사이트로 이동하게 되거나), 단축주소 서비스가 망해서 없어져버리면 그 동안 사용했던 주소들이 모두 길을 잃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저런 단축 주소들이 공인된 표준도 아니죠.

win one, lose one이라는 표현이 아주 적합하군요.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 (아이폰을 비롯한 많은 스마트폰들과 아이패드 등)

Mobile Qwerty Challenge
Mobile Qwerty Challenge by Ninja M.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GOOD : 웹을 표준화, 간결화 시키고 있습니다.

저는 당연히도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는 게 '애플이 웹표준화에 공헌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플래시가 웹표준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 이상 어도비 측의 반박에 힘이 실리기 어려운 상태죠. (플래시가 이럴진데 액티브엑스 같은 건 아예 꿈도 못꾸는 상태이고, 심지어 누구도 그 가능성을 떠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플래시는 RIA, SaaS 등 새로운 웹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혁신을 주도하긴 했지만 여전히 CPU를 힘들게 하고, 많은 버그를 내재한 것도 사실입니다. 특히 링크와 검색, 쉬운 복제라는 웹의 기본적인 속성을 뒷받침하지 않는 한 웹기반 회사와 단체들의 끊임없는 견제를 받을 수 밖에 없겠죠.

그리고, 간결화라는 말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말은 아니지만 저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모바일 환경이 되면서 의미없이 덕지덕지 붙던 광고가 99.1% 사라졌고, 마치 남는 공간을 채우기 위함이 가장 큰 이유처럼 보이는 각종 사이드바와 위젯들이 사라졌습니다.

또한 모바일웹에서는 무거운 스크립트도, 로딩 시간이 긴 이미지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늦게 열리고 데이터량이 많은 모바일웹은 도태되기 때문이죠. 사람들은 수많은 위젯과 대용량의 미디어 대신에 웹서비스의 시나리오와 UI, 컨텐츠 배치를 신경쓰기 시작했죠. 대단하지 않나요? 자발적으로 웹이 쾌적해지고 있습니다. 


BAD : 하지만 컨텐츠들은 파편화되고 사용자들은 피동적이 되었습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란 '이동성'이라는 특성상 간결하고 핵심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간결과 핵심에는 과감한 생략이 필연적이죠. 그렇기 때문에 깊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하는 컨텐츠나 서비스들은 인기가 없겠죠.

같은 맥락으로 오래 두고 읽어야 하는 긴 글이나 분석적인 글들은 인기가 없습니다. (물론 체크해두었다가 나중에 읽겠죠) 당장의 속보성이 강조된 글이나 현재 위치에서 유용한 글들이 더 많은 주목을 받죠.

이렇게 맥락이 잘려진 컨텍스트들을 소비하다 보면 사용자들은 점점 피동적이 되기 쉽습니다. 표면적인 즐거움 이상은 소비할 시간도 여유도 없죠. 모바일은 점점 실시간을 잘 모사하고 반영하는 형태로 달려가고 있으니까요.

이쯤하면 생각나는 미디어가 있는데 바로 텔레비전이죠. TV는 한동안 바보상자라는 별명으로 불리웠습니다. TV가 쏟아내는 정보량은 그 이전의 매체에 비해 엄청난 것이었고 시청자들은 그것만 소화하기에도 버거워했죠. 그것을 소화하려고 마음먹는 순간 단방향으로 쏟아지는 정보에 묻혀 피동적이 될 수 밖에 없어요.

실시간 웹이 TV가 있던 그 자리를 대신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가능한 한 많은 '실시간 정보'를 소화하려는 마음을 먹는 순간 피동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는 잠시 네트워크를 닫아두고 정보를 정리할 시간이 필요한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걸 방해하는 거죠.

자,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 글을 읽으셨다면 잠시 네트워크를 끊고 생각을 정리해보세요. :)